해운대수목원에 갔다가 이름표에 '매실나무 베니치도리' 라는 것을
보고 평소 궁금했던 사항을 찾아 보았습니다.
흔히 매화 혹은 매화나무라고 부르는 식물의 국명은 매실나무이기 때문에
원예화 갤러리 제목에 매화, 홍매화가 아니라 '매실나무'라고 하여야됩니다.
벚나무속 매실나무 종류는 국가표준식물목록 기준으로 12종으로 많은데
국명을 어떻게 불러야 될지 비교적 명확해 보이는 7종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재배식물의 경우 워낙 경우의 수가 많고 자료도 많지 않아서 정확하다는 보장은 없지만
적당한 노력으로 최선의 결과를 얻으려고 일부는 추정하여 작성한 내용도 있습니다.
먼저 국가표준식목록에 매실나무로 검색하면 10종이 나옵니다.
제일 밑에 보면 '흰매실나무'라고 있는데 그럼 매실나무 원종의 꽃색은 무슨 색일까요?
매실나무 원종의 꽃색은 흰색이 아니라 분홍색 혹은 담홍색이라고 합니다.(국생종)
만첩매실 종류가 2종 더 있는데 이름이 길어서 그런지 식물명 끝이 '매실나무'가 아니라 '매실'로 끝나 버립니다.
이런 경우 공통 단어인 '매실'로 검색하면 12종이 나타나겠죠.
매실나무의 국명 종류
국가표준식물목록 기준 12가지중 7가지는 비교적 명확해 보이는데
나머지 5종은 그 실체가 뭔지 잘 모르겠습니다.
1.매실나무(Prunus mume) : 분홍매. 매화나무, 매화, 백매
매실나무 원종의 꽃색은 담홍색인데
백매라고 부르는 흰색 꽃의 매실나무가 과실이 좋아서 더 많이 보급된 것 같아요.
2.흰매실나무 (Prunus mume f. alba) : 청매화
매실나무의 원래 꽃색은 담홍색이지만 흰색도 있다고 하는데
흰색 꽃이 피는 매실나무와 흰매실나무의 차이점에 대한 자료는 찾기 어렵네요.
꽃색이 흰색이라고 모두 흰매실나무로 분류하는 건 맞지 않다고 생각되어서
흰매실나무를 꽃색은 휜색이지만 꽃받침이 연한 초록색으로 추정, 열매가 작아서 주로 관상용으로 재배
[매실나무 원종의 꽃색은 담홍색(분홍색)이라 학명에 alba를 감안해 '흰'이라는 이름을 사용]
3.매실나무 베니치도리(Prunus mume 'Beni-Chidori') : 홍매화
재배종이긴 하여도 국명을 너무 일본명 그대로 사용한 듯하여 아쉽네요.
(가칭 '홍매실나무' 이 정도로 하여도 무난하였을텐데 ...)
4.매실나무 펜둘라(Prunus mume 'Pendula')
능수매화, 능수매실, 수양매화, 수양매실이라고 부르며 가지가 아래로 처지는 특징
학명 그대로 사용하여 부르기 어려운 아쉬움이 있네요.
(가칭 '처진매실나무' 이 정도로 하여도 무난하였을텐데 ...)
5.매실나무 도루우스 드래곤(Prunus mume 'Tortuous Dragon') : 운룡매, 용유매
매실나무는 대부분 휘어지는 특징이 있는데 흔히 '와룡매'라고 부르는 매실나무에 비해
모든 가지가 처음부터 아주 심하게 지그재그로 휘어지는 특징이 있는 특이한 종
학명을 그대로 사용하여 부르기 어려운 아쉬움이 있네요.
(가칭 '뒤틀린매실나무' 이 정도로 하여도 무난하였을텐데 ...)
6.흰만첩매실(Prunus mume f. alboplena) : 흰색 꽃이 피는 겹매화
7.홍만첩매실(Prunus mume f. alphandi) : 겹홍매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