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3월말 국가표준식물목록(총 4281종, 자생식물 3827종, 외래식물 342종, 재배식물 72종, 외래불확실종 40종)을
엑셀 파일과 텍스트 파일로 각각 첨부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외화식물은 귀화식물 242종과 임시정착식물 100종으로 분류)
(재배식물은 국내에 식재(재배)되고 있으나 일부가 자연생태계에 침입하여 야생화되고 있는 외래화 우려식물)
[PC 화면에서 아래 첨부를 클릭하면 첨부파일 3개가 보입니다.]
좁은 의미로 야생화라고 하면 자생식물 3827종만 의미하며
넓은 의미의 야생화는 '외래식물과 재배식물중에 야생에서 자라고 있는' 454종까지 포함한 4281종이 되며
절충(안)으로 외래식물중 '귀화식물'과 '임시정착식물' 342종을 포함한 4,169종을 야생화로 볼 수도 있겠습니다.
올해 2월 국가표준식물목록이 대폭 개정되었기에 안내 드리니 숙지하셔서
정확한 이름을 불러 주시기 바랍니다.
1.국명 삭제 주요 내용
(털괭이눈, 금괭이눈, 풍도대극, 닻꽃, 댕강나무, 민들레, 영도민들레)
금괭이눈 → 천마괭이눈
풍도대극 → 붉은대극
닻꽃 → 참닻꽃
민들레 → 털민들레
영도민들레 → 털민들레
2.국명 변경 주요 내용
좀끈끈이주걱 → 주걱끈끈이주걱
난쟁이현호색 → 난장이현호색 [접두사 난쟁이 식물명이 많은데 나머진 어떻게 할지?]
둥근빗살현호색 → 둥근빗살괴불주머니
흰괭이눈 → 흰털괭이눈
섬댕강나무 → 털댕강나무
3.국명 신규 추가
보현개별꽃, 천마괭이눈, 참닻꽃, 남구절초, 자주족도리풀
가지제비꽃, 제주제비꽃, 진도제비꽃, 창덕제비꽃, 완산제비꽃 등
총 51종이 추가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