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벌
포유류의 호랑이나 사자처럼 곤충계에서는 최상위 포식자로서 중요한 생태계 조절
기능을 한다. 우리나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장수말벌은 인명에 위협이 될 만큼
치명적인 독성을 지니고 있다. 장수말벌은 사람의 머리보다는 다리를 먼저 공격하고,
어두운 색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종류
주로 사람을 공격하는 벌은 땅속에 집을 짓는 장수말벌과 땅벌, 수풀에 둥지가 있는
좀말벌이다. 건물 처마 밑이나 벽 틈에 집을 짓는 왕바다리, 등검은말벌, 털보말벌,
말벌 등이 최근 대도시에서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장수말벌은 한 마리가 꿀벌
수백 마리를 물어 죽일 수 있어서 장수말벌떼가 한 번 출동하면 꿀벌통이 초토화되기
때문에 양봉업자의 경계대상 1호이다.
노봉방(露蜂房)
기원(基源):말벌과의 장수말벌,등검은말벌등 같은과의 말벌집이다.
기미(氣味):맛은 달고(甘),성질은 평(平)하다.독이 있다,(有毒)
귀경(歸經);胃,大腸經
효능(效能):祛風.攻毒,殺蟲,止痛(風邪를 없애고,독을 쳐내고,살충,통증을 멎게 한다.)
*性平,味苦鹹,無毒(一云有毒).主驚癎,瘈瘲,療癰腫不消,及乳癰,齒痛,惡瘡(東醫寶鑑)
(약성은 평하며,맛은 쓰고 짭다.독은 없다.<어떤 책에는 독이 있다.> 주로 급경풍으로
열이나고 얼굴이 벌게지면서 잠을 잘 못자고 놀라면서 눈을 치떠면서 목이 뻣뻣해지면서
경련이 일어나는 것을 驚癎(경간)이라 하는데,경간을 치료하고,힘줄이 뻣뻣해지면서
오그라들거나 늘어지는 증상이 번갈아 되풀이 되는 것을 驚癎(계종)이라 하는데
이 계종도 치료하고.유선염,치통.惡瘡(고치기 힘던 부스럼)을 치료한다.
1.
EXIF Viewer모델명Canon EOS 300D DIGITAL촬영일자2004:07:24 17:40:58노출시간 1/50초감도(ISO)ISO 800조리개 값F/5노출보정-0.33 EV측광모드멀티 패턴촛점거리100mm사진 크기1200x800
2.
EXIF Viewer모델명Canon EOS-1D Mark II촬영일자2005:02:08 13:07:30노출시간 1/50초감도(ISO)ISO 200조리개 값F/11노출보정1 EV촬영모드조리개 우선측광모드스팟촛점거리100mm사진 크기1200x800
3.
EXIF Viewer모델명Canon EOS-1D Mark II촬영일자2005:10:29 07:09:58노출시간 1/2초감도(ISO)ISO 100조리개 값F/9촬영모드수동측광모드스팟촛점거리100mm사진 크기1200x800
4.
EXIF Viewer모델명Canon EOS Kiss X5촬영일자2013:12:16 13:58:06노출시간 1/160초감도(ISO)ISO 200조리개 값F/9촛점거리100mm사진 크기1200x800
5.
EXIF Viewer모델명Canon EOS 600D촬영일자2014:07:07 13:30:33노출시간 1/50초감도(ISO)ISO 200조리개 값F/4.5촛점거리100mm사진 크기1200x800
6.
EXIF Viewer모델명Canon EOS 600D촬영일자2014:07:07 13:49:00노출시간 1/40초감도(ISO)ISO 200조리개 값F/4.5촛점거리100mm사진 크기1200x800